Yun Kyung Jeong

《Finger Spell》: A letter from an unworn time

Grapite on Pink, Seoul, 2021

Min-ji Jeon

Yun-Kyung Jeong’s solo exhibition, 《Finger Spell》, stems from the moment when the linear flow of history bent for some reason. In early 2020, when everything we had been taking for granted became deficient, the artist chanted a warm spell to newly sense the sweeping insensitivity. Digital drawings she had drawn with her fingers in the hazy time remained on her small cell phone screen, which were once again realized as huge lines on the canvas. For Jeong, “the small heat radiated from moving fingers” was a thick proof of the time that had been twining her. Meanwhile, the drawings she had drawn on paper at home in those times she couldn’t to go to her studio were reborn as collage materials in differences sizes. As such, her new methodology, which started in London during the lockdown, manifests “spell,” a verb that works some magic while spelling and writing the letters.

We all went through that strange time which had lasted quite long. As the past time solidified, the changes in life led not only to changes in her way of working but to changes in her worldview. While Jeong’s previous works had constructed landscapes based on geometric and organic motifs, the series she presents in this exhibition has moved onto a phase where refined landscapes coexist with reality. The accumulated world is suffused with the free movement of lines and cast by an unfamiliar touch of paper. At the same time, the immanent entropy pours down the canvas that fills the entire wall, helplessly. In the process, things from a distant past and things of the tangible present are superimposed upon each other. In other words, something atypical is putting an unprecedented layer on top of the existing landscape that had an architectural character. However, this is not a transition to a completely separate phase, but an act of laying a bridge between the two worlds built in the past and the present.

Meantime, the material traces found on the work’s exterior wield strange power. Looking at the lines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fingers seems to still remain, the viewers naturally come to imagine the movement of the skin. Beyond the soft neon colors on the touch screen and the abstract that looks like a croquis is the artist’s time to tear apart the skin and weather the situation piled upon one after another. This makes the changes in her style clear, which would not have happened by chance. What the audience eventually finds behind the thorough repetition of motifs and the mixed up form is a portal that confronts the reality. The flittering portal becomes lucid and overcomes the physical limitations to enable the encounter of the artist and the work. This reveals that Jeong, instead of stepping back to the fallen world, has begun to gaze at the phenomenon and found an opportunity for utterance. Thereby, the illusion is preserved and the present is condensed to its fullest.

Here, the legacy of the past never collapses nor sinks. Rather, the artist builds an unknown passage between the present, where she is standing on, and the stagnated past. As we set foot in the place, a path leading to a time and space we have not yet reached activates for a moment. In tandem, the audience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hall reads a letter sent from a time that is not worn away – we cannot tell if it is the past or the present. Written in an enchanting handwriting, it talks about the past and present and the illusion and reality, which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talks about those who have untangled the threads and changed the direction of their gaze, and the numerous portals and passages they have put together. An unworn history begins like this. As if caught in a spell.

《Finger Spell》: 마모되지 않은 시간으로부터 온 편지

전민지

정윤경 개인전 《Finger Spell》은 역사의 선형적 흐름이 모종의 이유로 굴곡된 순간에 기인한다. 2020년 초, 당연했던 모든 것이 결핍에 다다랐을 때 작가는 엄습하는 무감각을 새롭게 감각하기 위해 온기 어린 주문을 외웠다. 막연한 시대에 손가락으로 그려진 디지털 드로잉은 핸드폰 스크린에 작게나마 남았고, 이들은 다시금 캔버스에서 거대한 선으로 구현되었다. 그에게 있어 "움직이는 손가락을 통한 작은 발열"이란 작가 자신을 휘감았던 시간의 두터운 증거였다. 그런가 하면, 작업실 방문이 어려웠던 상황으로 인해 작가의 집에서 만들어진 종이 위 드로잉은 다양한 크기의 콜라주 재료로 재탄생했다. 이처럼 도시 봉쇄령 시기의 런던에서 시작된 작가의 새로운 방법론은 철자를 읊고, 쓰며 마법을 부린다는 동사 'spell'을 현현한다.

그렇게 오래도록 이상했던 시간을 건너왔다. 지나간 시대가 점차 확고해지면서, 생활의 변화는 작업 방식의 변화뿐만 아니라 세계관의 변화를 이끌었다. 정윤경의 이전 작업이 기하학적이고도 유기체적인 모티프를 근간으로 두어 풍경을 구축했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시리즈는 정제된 풍경과 현실이 공존하는 단계로 나아간다. 축적되어 있던 세계에 자유로운 선의 운동성이 깃들고, 종이로부터의 낯선 감촉이 함께 드리워진다. 동시에, 벽을 가득히 채운 캔버스에는 내재되어 있던 엔트로피가 속절없이 쏟아져 내린다. 이러한 과정에서 머나먼 과거의 것, 그리고 만질 수 있을 듯 가까운 현재의 것은 서로에게 덧입혀진다. 즉, 비정형의 무언가가 건축적 성격을 띠던 기존 풍경 위에 전에 없던 레이어를 씌우고 있다. 그러나 이는 온전히 분리된 단계로의 이행이라기보다 과거와 현재에 각각 지어진 두 개의 세계 사이 선로를 놓는 행위다.

이때 작품 외연에서 발견되는 물질적 흔적은 기이한 힘을 표출한다. 손가락의 체온이 아직 남아 있는 듯한 선을 보며 관객은 자연스럽게 살갗의 움직임을 상상하게 된다. 터치스크린 위의 부드러운 네온 색상, 크로키처럼 그려낸 추상 너머에는 이 살갗을 찢고 상황을 헤쳐가려는 작가의 시간이 켜켜이 쌓여 있다. 아마 우연이 아니었을 작업의 변화는 이로부터 확실해진다. 결국 관객이 모티프의 철저한 반복과 뒤섞인 형태 뒤편에서 발견하게 되는 것은 현실에 정면 대응하는 포털이다. 아른거리는 듯하더니 곧 뚜렷해진 이 포털은 물리적 한계를 딛고 작가와 작품의 만남을 가능케 했다. 이는 작가가 무너진 세계를 향해 뒷걸음질하는 대신, 현상을 응시하고 발화의 기회를 찾았음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이로써 환상은 보존되고, 현재는 한껏 응집된다.

여기에서 이전 시대의 유산은 결코 붕괴하거나 가라앉지 않는다. 작가는 오히려 발을 딛고 서 있는 이 시대와 고여 있던 과거 사이에 미지의 통로를 둔다. 우리가 이곳에 진입하려는 지금, 미처 가닿지 못했던 시간과 공간을 향해 나아가는 길이 일순간 활성화된다. 그와 함께 전시장 한가운데에 있는 관객은 마모되지 않은 시간으로부터 – 이때가 과거인지, 현재인지 우리는 알 수 없다 - 발송된 편지를 읽는다. 매혹적인 필체로 쓰인 이 글은 상보적 관계에 놓인 과거와 현재, 환상과 현실에 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현 상황에 엉켜 있던 실들을 풀고 시선의 방향을 바꾼 이들의 사례에 대해, 그들이 조합해냈던 수많은 포털과 통로에 대해 말한다. 여전히 마모되지 않는 역사는 이렇게 시작된다. 마치 주문에 걸린 듯이.

← BACK TO PRESS HOME